투자를 하고 싶어도 , 건물을 사고 싶어도 씨드머니라고 하는 종잣돈이 필요합니다. 이 돈을 모으기가 얼마나 힘든지 여러분 너무나 잘 알고 있으시죠?!
그냥 눈 딱 감고 5년만 잘 버티면 5000만원 목돈이 생기는 계좌가 올 6월에 출시 되었습니다.
어떤 유투버를 보니 1000만원만 있어도 건물에 투자 할 수 있다고 하던데, 5000만원이면 5채에 투자할 수 있는 돈입니다. 우리 먼저 씨드머니 먼저 만들고 나서 돈을 굴려볼까요!!!
그럼 오늘은 씨드머니 만드는 계좌신청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올 6월에 출시가 되었다고 하니, 내가 그 기준에 들어가는지 우선 사이트를 통해 확인 해보겠습니다.
5년안에 정부의 도움을 받아 목돈을 마련할 수 있다면 그 다음 스텝은 더 편할 것으로 생각됩니다!
5000만원 목돈 쉽게 만드는 방법
이 계좌는 월 최대 70만원 납입시 이자 및 정부기여금을 포함하여 5년후에 약 5천만원을 모을 수 있는 청년 목돈 형성 지원정책입니다.
기본 금리는 5대 시중의 은행 기준으로 보면 4.5%의 우대조건을 만족하면 1.5%가 더해져서 연 6%의 이자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. 이자소득은 모두 비과세를 적용받기때문에 정말 기회가 아닐수 없습니다.
또한, 정부 기여금은 가입직전연도의 연봉!!! 6천만원 이하일 경우에는 매달 40만원 이상 저축시, 정부가 추가로 월 2만원씩을 지원줍니다.
신청하신 분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자면 신청을 한 후 7일 후 심사에 통과해서 가입이 가능하다는 통과를 받고, 자신의 신한은행 쏠 어플로 가입신청이 가능했다고 하니, 심사를 받고 나서, 어플로 신청 가능한 심플한 구조로 되어있다고 생각합니다.
■ 가입 조건
하지만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이라고 해서 누구나 가입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.
만 19세~ 만 34세의 청년 중 연봉 6,000만원 이하, 본인을 포함한 가구원 소득의 합이 중위소득 180%이하였을때만 가입이 가능한 상품입니다.
[병적증명서]로 병역을 이행하였음이 증명되는 경우 6년을 한도로 병역을 이행한 기간을 현재 연령에서 빼고 계산함
또한, 최근 3개년도중 금융소득 종합과세를 신고 하지 않는 사람이 가입조건입니다!
이 중에서 네번째가 가장 애매할텐데요. 본인이 신고한 기억이 없다면, 안한것이니 넘어가도 좋을 것같습니다.
가구원 | 금액 |
1인 | 3,740,206 원 |
2 인 | 6,211,079 원 |
3 인 | 7,982,689 원 |
4 인 | 9,721,735 원 |
5 인 | 11,395,238 원 |
6 인 | 13,010,366 원 |
■ 가입방법
11개의 은행앱으로 간편히 가입이 가능하며, 그 전 가입하고자 하는 은행에 조건에 대해 문의를 하고 심사를 받은 후 가입을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
청역도약계좌 개인 소득별 기여금 지급구조
개인소득 (총금여기준) |
본인 납임한도(월) | 기여금 지급한도 (월) | 기여금 매칭 비율 | 기여금 한도(월) |
2,400 만원 | 70만원 | 40 만원 | 6.0% | 2.4 만원 |
3,600 만원 | 50 만원 | 4.6 % | 2.3 만원 | |
4,800 만원 | 60 만원 | 3.7 % | 2.2 만원 | |
6,000 만원 | 70 만원 | 3.0 % | 2.1 만원 | |
7,500 만원 | - | - | - |
가입 후에 3년은 고정금리로 진행이 되며, 이후 2년은 변동금리를 적용.
3년을 초과해서 고정금리가 적용되는 구조의 상품을 출시할 수 있도록 협의를 진행할 예정 (아직 발표되지 않았음)
특히 저소득 청년을 지원하기 위해 일정수준의 우대 금리를 부여할 수 있도록 취급 기관과 협의예정 (아직 미발표)
■ 이자 비과세
보통의 은행의 이자소득은 국세 14%, 지방세 1.4% 총 15.4%의 세금을 부과합니다.
고로, 월 70만원씩 5년을 납입했을때에는 약 986,370이라는 세금을 내야합니다.
그러므로 청년도약계좌는 약 100만원의 세제해택이 있는 셈있습니다.
즉, 일반 시중은행과 비교를 하자면, 7.1프로 정도의 금리라고 생각이 되는것이니, 정말 좋은 기회가 아닐수 없습니다.
기타안내사항
1. 청년희망적금, 청년도약계좌를 동시에 가입할 수 없습니다. 그 이유로는 두개다 지원을 받을 수 없으므로 둘 하나를 만기해지 또는 중도해지후 다른 것이 개설 가능합니다.
2. 개인소득이 4800(총금여기준)이하인 경우에도 월 70만원(납입한도)를 채우지 못하면 정부가 지원하여 수령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.
3. 특별 중도해지 사유에 해당 된다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함
: 특별 중대해지 사유 -> 가입자의 사망, 해외이주, 사업장 폐업, 천재지변, 장기치료등에서는 비과세 해택까지 유지
4. 상품 만기 후에는 정책상품 이용때 우대금리, 예적금 납입 내역및 샌용평가 가선점 방영, 금융교육 및 컨설팅 서비스
5. 문의 번호 : 금융위원회 청년정책과 (02-2100-1684 ) , 서민금융진흥원 청년금융지원부 (02-2128-8216)
'★정보 >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임영웅은 왜 인기가 많은가? 콘서트, 스팩, 실시간소식 (0) | 2023.10.31 |
---|---|
빈대 제거 방법 (0) | 2023.10.31 |
티스토리 클릭유도 버튼 가장 쉽게 만드는 방법 css버튼제작 (1) | 2023.10.27 |
AI가 쓴 글인지 확인 해 주는 사이트 모음 ai편집기 (0) | 2023.10.27 |
아이폰 15 싸게 사는 방법 pro 할인 비교 (0) | 2023.10.26 |